직무정보

상품기획

ROLE

  브랜딩의 핵심인 상품을 기획하는 Creator
CJ푸드빌 브랜드를 인지하는 고객 경험의 핵심인 ‘상품’을 기획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주관하고 있습니다. 시장/고객 지향적 사고 및 최초∙최고∙차별화의 Only-One 정신에 입각하여 브랜드 Identity를 강화할 수 있는 상품 전략을 수립한 뒤, 구체적인 상품을 기획하고 컨셉을 도출합니다.
지속적인 트렌드 캐칭을 통하여 시장 변화를 파악하고 고객의 Needs를 분석하여 상품 개발방향성을 설정하며, 개발된 메뉴는 상품 경쟁력의 객관화를 위하여 시식 및 소비자 테스트 단계를 거쳐 출시합니다. 또한 출시 이후에는 상품에 대한 소비자 조사 결과 및 메뉴 엔지니어링을 통하여 차후 개정 계획을 수립하는 일련의 Cycle을 관리합니다.

  1. 메뉴 시뮬레이션
신메뉴의 기획이 완료되면 메뉴가 출시되기 전까지 식재수급, 원가파악, 현장의 운영적인 측면 검증 등 일련의 프로세스를 통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합니다. 이를 통해 출시 전에 수익성과 상품가치를 검증하고 맛과 품질의 편차를 최소화하며, 매장에서의 오퍼레이션이 용이하도록 매뉴얼을 수정하는 작업을 합니다.

  2. 표준화 레시피 및 원가 관리
표준화된 레시피를 구축하고 매장에서 구현함으로써 음식의 퀄리티를 유지하고 원가를 관리합니다. 표준화된 레시피에 따른 식재 사용량, 로스 등을 포함한 실제 원가를 파악합니다. 뿐만 아니라, 대외환경의 변화(날씨, 식품안전이슈 등)에 따라 유연성 있게 식재를 대체하고 유관부서와 협의하여 원가를 조율합니다.

  3. Critical Point 설정 및 관리
각 브랜드별 메뉴 운영에 대한 설계, 메뉴 및 식재 관리 기준을 설정하고 관리합니다.

QUALIFICATION

  커뮤니케이션 역량
상품 기획자는 회사 내 다양한 유관부서 및 외부 업체와의 협업을 바탕으로 업무를 진행하기 때문에,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필요합니다.

선배의 한마디
마케팅팀, R&D, 영업팀까지 회사 내부의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끊임없는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유연하고 긍정적인 소통 역량이 필수입니다.

  Trend Reading 및 Creativity
F&B는 단순히 식문화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라이프스타일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문화 전반의 Trend에 관심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업계 현황, 신 메뉴 및 고객 트렌드를 심도있게 파악하여 경쟁사와 차별화되면서도 트렌드를 선도할 수 있는 상품을 기획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선배의 한마디
시장을 읽고, 즐기고, 선도하기 위해서는 고객 입장에서의 시각과 상품 기획자로서의 시각이 유연 적절하게 녹아져야 합니다. F&B 브랜드 런칭 및 운영 전문성, 고객의 외식 소비 트렌드 전반에 촉각을 세우고 벤치마킹 포인트를 담당 브랜드의 Identity와 시즌 컨셉에 맞추어 적용할 수 있도록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합니다.

  데이터 분석 능력
원가 Simulation 및 Demand Planning을 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분석에 대한 기본 지식, 분석결과에 따라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사고가 필요합니다.

  식재 및 조리에 대한 지식
식재 및 메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있어야 하며 특히 각 브랜드 속성에 맞는 메뉴 및 식재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해당 브랜드 조리 표준화 작업을 위해서는 조리에 대한 기초 지식이 필요하고 특히 브랜드 메뉴 조리 흐름 및 메뉴 판매 방식/선호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장(매장)경험이 필요합니다.

CAREER PATH&VISION

  최고의 상품 기획/운영 전문가
상품의 기획부터 출시, 운영까지 전 단계의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브랜드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역량을 갖출 수 있습니다. 또한 운영을 위한 표준화되고 체계적인 프로세스 구축, 품질 경쟁력이 있는 메뉴로 수익을 확보하는 업무는 CJ푸드빌의 핵심직무이자 역량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상품팀 운영담당자는 외식업계의 제네럴리스트로 새로운 꿈을 가지고 성장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