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정보

Process Engineering

직무소개

  “제조기반역량 강화를 통해 Global No.1 Process Engineer를 양성합니다.”
    생산기술 직무는 크게 제품의 공업화와 개선을 위한 시설투자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제품 공업화는 Pilot 설비 Scale Up/ Process구성을 진행하는 업무로 초기 기획단계부터 제품출시 후
    안정화 단계까지 일련의 모든 과정을 Control 하는 업무입니다.
    시설투자는 기존 공정의 원가, 작업성, 제품품질 등 다양한 부분에서 불합리적인 영역을 찾아 개선 함으로서
    제품의 경쟁력을 높여 시장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시설투자 업무는 품질, 생산성, 안정성등의 관리까지 포괄적으로 수행합니다.
    시장의 빠른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는 최신기술 Trend의 동향분석/공장의 주요 지표관리 또한
    중요 업무의 하나입니다.
    Process의 주요 지표관리 및 동종업계 동향 조사/기술 Trend파악을 통한 Issue 발굴은 공정의 개선 및
    새로운 전략 수립의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됩니다.

필수역량

  “Process의 이해를 기반으로 한 식지 않는 열정과 업무 진행을 위한 강한 추진력이
   필요합니다.”
    ‘현장에 답이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직무 수행 시 다양한 과제들을 직면하게 되면 그 과제의 답은 항상 현장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열정을 바탕으로 한 끊임없는 문제분석능력이 요구되며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다른 사고/관점으로 문제에 접근하여 효율적인 설비/시설 투자를 진행하여야 합니다. 물론 최신기술정보의
    습득 및 공정의 정확한 이해는 선행되어야 할 조건입니다. 상사와는 수시로 업무 관련 협의를 통해
    업무에 대한 코칭 및 의사결정을 받으며, 생산기술 업무의 특성상 단독 수행업무보다는 유관부서의
    협조를 필요로 하는 업무가 많아 공장 생산부서, 품질관리부서, 수급담당부서 나아가 R&D, 마케팅등의 부서와도
    수시로 업무연락을 통해 정보/의견공유가 이루어져야 합니다.이러한 가운데 Process Engineer가 있습니다.

Career Path &      Vision

  “10년 후, CJ제일제당 해외사업장에서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답니다.”
    신제품, 설비투자, 기술정보 관리 과정에서 공장 경영 전반에 걸친 학습/경험 및 기획적 업무 수행을 통한
    여러 사업부문과의 협업체계는 추진력과 기획력을 높일 수 있어 향후 사업장 Manager/본사 Staff직무 수행 시
    탁월한 업무수행 Performance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업무를 통해 접하게 되는 다양한 최신 정보와 이의 연구를 통한 전문지식 습득 및 외부교육을 통한 선진 기술
    Bench Marking은 본인의 역량향상 및 소속 사업장의 기술력이 됩니다. 거시적으로 동종업계 우수인력이 되어
    향후 기술고문 등 여러 방향의 Career를 가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