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LE
- CJ제일제당 BIO연구소 발효공정 연구원은 생명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사료 첨가용 아미노산, 식품 첨가용 핵산 및
- 다양한 바이오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미생물의 발효공정 및 전환공정을 연구합니다. 개발된 공정기술들을
- CJ제일제당 생산현장에 적용하여 생산력을 극대화하고 생산제품의 원가를 절감하여 이윤 창출에 기여합니다.
- 또한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및 개선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업무도 수행합니다. 구체적인 업무는
- 다음과 같습니다.
1) 미생물 특성 분석 및 공정 최적화
대사공학 및 Omics 기술에 의해 개발된 산업적으로 유용한 미생물의 생리특성 및 발효특성을 면밀히 분석하고 - 이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배지 최적화, 공정 최적화 연구를 수행합니다.
2) 개발된 공정의 현장화(기술이전)
실험실 수준에서 개발된 최적 공정조건을 생산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scale-up 연구를 수행하며, 여기서 얻은 - 정보와 결과를 바탕으로 해외 생산현장에 파견되어 기술이전 업무를 직접 수행합니다.
3) 혁신 발효공정 개발
당사가 보유한 기존의 발효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세상에 없는 혁신 공정을 끊임없이 개발하며, 발효공정 기술의 - leading 그룹이 되기 위해 노력합니다.
4) 현장 이슈 대응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며, 이를 해결하여 생산현장에 - 제안하고 적용합니다. 필요 시 직접 파견되어 업무를 수행합니다.
Qualification
- 1) 지식(Knowledge) 및 기술(Technology)
미생물학, 생화학, 물리화학, 발효공학, 공정공학, 실험통계학, 유체역학, 기기분석 분야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 필수적으로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대사공학, 유전공학 등 심도 있는 미생물 대사의 이해와 기계설비에 대한
- 기본 지식이 있으면 업무수행에 더 많은 도움이 됩니다.
2) 기본역량 (Competency)
치밀한 실험설계, 객관적 data 처리와 해석, 간결한 보고서 작성 등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업무역량이며, - 이를 위한 도구로 word, 엑셀, power point 등의 활용이 원활해야 합니다.
3) 태도 (Attitude)
발효공정 연구는 균주개발 부서, 정제연구 부서 및 생산현장과의 긴밀한 협조 및 정보공유가 필수적이며, - 이를 위해 관련 부서와의 협의 시 원활한 communication 을 위한 경청, 설득, 존중의 태도가 필요합니다.
- 또한 연구개발의 기본 자세인 창의, 도전정신이 필요하며 정직하고 솔직한 태도가 필요합니다.
CAREER PATH & VISION
- 실험실 규모의 공정 연구에서부터 대규모의 해외 생산현장까지 다양한 경험을 통해 바이오산업에 대한
- 폭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는 큰 매력이 있습니다. 실험실에서 제작한 미생물이 거대한 생산현장에
- 적용되어 바이오 제품으로 거듭나고, 세계 각국으로 판매되는 과정에서 수십 년간 축적된 CJ제일제당의
- BIO기술과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사업역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연구원의 작은 아이디어가 거대한 조직을
- 변화시키고 막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결과를 몸소 체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발효공정 연구원은 관련분야의 역량을 향상시킴으로써 당사의 생산기술센터 및 해외 생산현장에서 - 근무할 기회가 연구소 내 어느 분야보다 많으며, 실제로 연구원 출신이 해외 현장에서 역량을 발휘하는
- 사례가 많습니다.
또한 연구소 내부적으로는 전문분야에 대한 학습의 기회가 제공되고, 우수 연구원들에게는 해외학회 참가 - 기회가 있어 최신 연구동향 및 신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 갖춘 CJ그룹의 집합/온라인 교육과정을 통해 개인과 회사가 원하는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BIO사업은 기술집약적 사업이다 보니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연구원은 연구기획, 사업전략, 사업관리 등 - 다른 직무로 전환하여 성장할 수도 있습니다.
로그인 연장
국가선택
국가선택